층간소음, 해결 지침서 마련-호주 ‘이웃분쟁 조정 설명서’ 서울YMCA서 번역·발간 - 에코피아 뉴스
설문조사
2025년04월04일fri
기사최종편집일: 2025-03-31 16:33:50
뉴스홈 > Business > 제 품
2015년07월17일 10시00분 816
글자크기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미투데이로 보내기 층간소음, 해결 지침서 마련-호주 ‘이웃분쟁 조정 설명서’ 서울YMCA서 번역·발간
이웃과 층간 소음 다툼 있을 땐… 무작정 만나지 말고 약속 잡아 편한 곳에서 대화 시작하세요 기사의 사진
 
 
서울YMCA(서울Y) 시민중계실은 6일 호주 퀸즐랜드주의 분쟁해결센터에서 만든 ‘이웃분쟁 조정 설명서’ 한국어판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서울Y 이웃분쟁조정센터 주건일 팀장은 “층간 소음이나 흡연 등의 문제로 폭행과 살인까지 벌어지는 세태 속에서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설명서를 제작·배포하게 됐다”면서 “교회 공동체나 각종 모임 등 단체들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설명서에 따르면 이웃분쟁이 발생하면 문제 해결을 위한 최우선 행동으로 ‘분쟁 당사자간 만나기’를 꼽고 있다. 양측이 편하게 앉을 수 있고 방해받지 않을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

상대방을 만난 자리에서는 먼저 ‘본인의 관점’으로 침착하게 해당 문제를 설명한다. 이어 상대방에게 ‘그의 관점’에서 이야기할 기회를 제공한다. 설명을 하거나 의견을 듣는 중에는 상대를 비난하거나 설명 중간에 끼어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같은 과정만으로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문제가 해결되면 성공적이다. 하지만 대화가 잘 이뤄지지 않거나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에 일이 너무 커졌다면 ‘조정’이 필요하다.

분쟁조정센터나 유관 단체가 있다면 협조를 받을 수 있지만 여의치 않다면 대화 방향을 잡아줄 조정자 한두 명이 필요하다. 조정 절차에 들어가면 당사자들의 주장을 청취하고 이를 통해 안건을 발췌할 수 있어야 한다. 이어 개인 상담·협상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한다(표 참조). 협상 단계에서 조정자는 ‘분쟁 대상자들이 원하는 것’보다 ‘그들은 왜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는가’에 대한 관점에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서는 강조한다.

현재 호주를 비롯한 미국과 유럽, 싱가포르 등에는 ‘대안적 분쟁해결법’과 ‘주민분쟁해결센터법’ ‘이웃분쟁조정센터’ 같은 법·제도 및 기구를 통한 분쟁 조정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미국은 400여개의 분쟁조정센터와 1만2000명의 갈등조정 전문 인력이 활동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갈등 지수 2위, 갈등관리능력은 27위에 머물고 있다. 인구 대비 소송 건수는 일본의 10배에 달할 정도로 분쟁 조정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다.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뉴스스크랩하기
우진성 기자 (sm@naver.com)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제 품섹션 목록으로
 

이름 비밀번호
 54708457  입력
[1]
다음기사 : LG하우시스, 층간소음 줄이는 놀이방매트 할인행사 (2015-07-29 08:56:45)
이전기사 : 층간소음 예방을 위한 완벽 지침서, 신간 발간 (2015-07-17 09:53:33)
회사소개 개인정보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이용약관 광고안내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기사제보
상호명: 에코피아뉴스 전화번호: 031-238-4591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45 삼호골든 프라자 1004호
등록번호: 경기 아 50413 등록일: 2012. 5. 9 발행인/편집인: 차상곤
에코피아뉴스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으며, 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c) 2025 에코피아 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