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 갈등 예방, 상담을 올바르게 하는 방법(2) (차상곤 박사 칼럼 중)

뉴스일자: 2016년04월27일 07시41분

층간소음 상담의 목표를 무엇에 두느냐 하는 것은 내용이나 방법 또는 이론이나 분야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상담은 특징에 따라 소극적인 것과 적극적인 것으로 나누어 본다. 대체로 소극적 목표는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고, 적극적인 목표는 새롭게 형성하거나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소극적 목표

 첫째, 상담의 목표는 문제해결이다. 문제란 내담자가 현실 속에서 직면한 난관을 다루어 가는 과정에 스스로 빚어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제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빚어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초점을 맞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관리할 수 있는 힘을 길러 다른 문제까지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상담의 목적이 되고 있다.
둘째, 상담의 목표는 적응이다. 개인의 욕구와 환경 사이에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삶 자체가 지장을 받지 않는다. 인간의 욕구는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욕구간의 충돌은 피하기 어렵다. 혼돈이나 불안을 야기하는 내적 갈등도 있다. 인간의 갈등이 심해지면 자아의 통합이 어려워지고 전체적 삶의 균형이 무너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아의 다양한 욕구를 다루어 훌륭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상담의 목표이다.
셋째, 상담의 목표는 치료이다. 상담에서의 치료는 신체적 질병이나 정신적 질환을 치유하는 것보다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는 데 더 치중함을 의미한다. 마음이나 영혼의 상처는 신체적 질병과 가난의 문제가 대부분 해결된 사회에서 인간의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마음의 상처 자체가 주는 고통이 무척 크며 인간의 삶에 광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는 것이 상담 목적이 된다.
넷째, 상담의 목표는 예방이다. 상담이 바라는 예방은 성격장애, 범죄나 비행, 신경증, 정신병 등과 같은 이상심리 내지 정신 병리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다. 상담이 목적하는 예방은 광범한 삶의 문제를 장기적으로 예방하고 발달과정에 제기되는 문제를 사전에 대비하여 장애나 문제를 극복하고 바르게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섯째, 상담의 목표는 갈등해소이다. 인간의 심리적 갈등은 개인이 내적으로 경험하는 동기간의 충돌과 대립을 가리킨다. 욕구들 사이에 갈등이 있고, 가치들 간에도 갈등이 있다. 사람은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면서 정신적으로 성숙하기도 하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심리적 갈등은 삶에 나쁜 영향을 준다. 일상생활에서 인간관계의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상담 목표가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적극적 목표

층간소음 상담의 목표는 부정적 인간특성을 제거하거나 약화시키고 긍정적 인간특성을 형성하고 강화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담을 통해서 달성해야 할 긍정적이고 적극적 인간특성은 다양하다.
첫째, 상담의 목표는 긍정적 행동의 변화이다. 가정, 학교, 사회, 직장생활 등 가운데
내담자로 하여금 보다 생산적이고 만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이 상담의 목표이다.
둘째, 상담의 목표는 합리적 의사결정이다. 인간의 삶은 크고 작은 의사결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고 할 정도로 결정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매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결정도 있지만 일생에 단 한번 내리는 의사결정도 있다. 선택과 결정을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으로 하게 되면, 개인적 불행과 실패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손실이 클 수도 있다. 미래에 직면하게 될 선택이나 결정을 합리적 또 효율적으로 원조해 주는 과정이 바로 의사결정이다.
셋째, 상담의 목표는 전인적 발달이다. 인간의 여러 가지 특성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활동이다. 자연에 계절이 있듯이 인간도 단계마다 두드러지게 발달되는 특징이 제각각 다르다. 특정 분야만 발달하고 다른 분야는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면 기형적 인간이 된다. 조화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개인의 심리적·사회적·문화적 측면이 균형 있고 조화 있게 발달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통합적 인격체로서 전인의 모습을 조형해 내는 것이 상담의 목표이다.
넷째, 상담의 목표는 자아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경험만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실패와 좌절 속에서 그것과 씨름하는 강인한 자아상을 보게 될 때 도리어 자아존중감이 발달한다. 자아의 부정적 요소와 긍정적 요소의 대립과 모순을 넘어서 참된 자아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는 것은 상담과정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할 주요 목표이다.
다섯째, 상담의 목표는 개인적 강녕이다. 강녕이란 건강하고 평안하다는 의미이다. 내담자로 하여금 개인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도덕적, 경제적으로 건강하고 안정돼 있을 뿐 아니라 의연하고 평화로운 가운데 보람을 느끼는 삶을 살아가게 하는 것이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ecopia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